OPENING FRIDAY, JAN 13, 2023 | 18.00
SEOUL
전시오픈 01/13 금 | 18.00
SEOUL 오프닝에서
[ENGLISH]
Armin Boehm's first solo exhibition in Korea 'From Gloom to Night' will open at
CHOI&CHOI Gallery SEOUL on 1 September. The artist captures the volatile state of today's society by combining contemporary iconographies with the symbol of the night - a motif that has long been explored in Western art. Vibrant cityscapes, uncanny interiors, and fractured portraits come together to reveal Boehm's diagnosis of the world we live in.
Text by Wolfgang Ullrich
For several years, night has fallen in Armin Boehm's paintings. The sun, albeit fading, was
still shining around 2015, and images revealed themselves in the twilight. Since 2018, his
skies have become even darker. Stars or the moon appear at times, but light comes almost exclusively from artificial sources: from lamps, neon signs, searchlights. It looks garish as if to capture a street or an interior being illuminated after an accident or a crime. Boehm’s light heightens the eeriness of the night.
Night paintings are a long-standing tradition in Western painting. The crucifixion of Jesus is often depicted at night, as most famously exemplified by the Isenheim Altarpiece by Matthias Grünewald, in which the night embodies death and mourning. Representations of the apocalypse are also often nocturnal. They are illuminated by fire or comets - in religious paintings as well as in modern fantasies of doom. Especially in the period around the First World War, there was a steady stream of ominous nighttime compositions created by the likes of Ludwig Meidner, Otto Dix and Max Beckmann. In the previous century, however, it was the Romantics such as William Blake, Johann Heinrich Füssli and Caspar David Friedrich, who often set their scenes at night. For them, the night not only meant the end of the day and a great death, but also gave hope for a new day: the sun would eventually rise anew.
Armin Boehm is well versed in the different iconographies of the night. However, he does
not stop at merely referencing them in his paintings, and instead develops them further.
After all, he cannot help but perceive some developments in recent years as threatening,
even as frightening, or perhaps even as apocalyptic. Isn't the social atmosphere becoming more and more aggressive? Isn't the pressure to position oneself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increasing? And aren't more and more people drifting towards extremism and radicalism? Isn't there a lot of hatred and anger pouring out both on social media and in the streets? Isn't there an unspoken war between the sexes, between man and nature, between large corporations and individual citizens, between generations, social classes, and ethnicities? On top of that, there are crises such as the pandemic that continue to darken the situation. All in all, the picture emerges from a present that is rather out of joint, and in which a total collapse could occur at any minute.
Armin Boehm repeatedly and concisely conveys this bleak diagnosis in his paintings – and by no means only in the motif of the night. Divisive topics such as Donald Trump, Pepe the Frog or rainbow flags appear and reflect today's agitated social climate; subjects from the world of comics or media suddenly appear just as real as people, as if all hierarchies have been thrown out the window. In addition, some of Boehm's characters are ecstatic and exhilarated, while others seem powerless, exhausted, downright apathetic. In other words, extremes reign here too. The figures, however, never seem to be in harmony with one another. They seem to live in different, incompatible realms, in spite of the shared pictorial space they occupy.
Most often, however, they are at odds with their own selves. They appear with several faces at the same time or at least with additional - and often deformed - mouths, eyes, noses, or tongues. The conventional physiognomic order is dissolved, making it impossible to discern whether the figures are elaborately and monstrously masked or are skinned and abused. But both testify to a state of emergency and escalation, whereby they must either extensively disguise themselves for their own protection or they have already fallen victim to external violence and are disfigured as a result. Boehm is not content with just painting his subjects. Instead, he also works with fabrics that he cuts out and glues onto the canvas, reinforcing the impression that the faces are plastically distorted. Much like his tutor Jörg Immendorff, Armin Boehm proves to be a great contemporary diagnostician in his portrayal of society. In addition, there are interiors, still lifes and portraits that make up his body of work. But even these much quieter, intimate pictures are set mostly at night, or at least contain motif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it: cats that come alive at night, or curtains that provide cover as you drift off to sleep. Or something is reflected in a pane of glass against a nightly background. Some of the flowers have lost their color, and in any case, they are in vases. They have already been cut off and are dead. Tables have black tops, rooms appear empty. It all adds up to a mood that does not seem outright dangerous but is sinister in a more timeless manner. Here, an existential dimension of nocturnal worlds takes form; the socio-political gloom that plagues Boehm is heightened and refined by motifs that are independent of it. It doesn't take away the horror of his contemporary diagnoses, but rather provides the opportunity to visualize and reflect on them from a different, less retrained perspective.
[KOREAN]
아민 보엠의 그림은 몇 년째 밤에 머물러있다. 해가 서서히 지고 있던 2015 년경의
작품들이 황혼의 빛을 머금었다면, 2018 년 이후 하늘은 점점 더 어두워졌다. 때때로
달이나 별이 보이기도 하지만 그의 작품 속 거의 모든 빛은 램프, 전구, 헤드라이트 등
인공적이다. 이 특유의 눈부심은 마치 사고나 범죄의 현장을 조명하는 듯하여 밤의
불길함은 빛에 의해 더욱 깊어진다.
야경화는 서양 미술의 긴 역사를 거치며 오랫동안 이어져왔다. 예수의 십자가형은 주로
밤을 배경으로 그려졌는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은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이젠하임
제단화로 밤의 모티브를 통해 예수의 죽음과 슬픔을 표현하였다. 또한 종교미술부터
현대의 아포칼립스 판타지에 이르기까지 세계 종말을 담은 작품들은 종종 어두운 밤을
배경으로 타오르는 불 또는 혜성의 빛을 부각시킨다. 특히 제 1 차 세계 대전 무렵에는
루트비히 마이드너, 오토 딕스, 막스 베크만 등 많은 예술가들이 불길한 분위기의
야경화를 꾸준히 그렸다. 그러한 반면 이전 세기에는 윌리엄 블레이크, 요한 하인리히
퓌슬리,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와 같은 낭만주의자들이 종종 밤을 그렸는데, 그들에게
밤은 하루의 끝과 철학적 죽음뿐만 아니라 새로운 날이 밝아질 것이라는 희망 또한
의미하였다.
아민 보엠은 이러한 밤의 다양한 상징들을 잘 알고 이 요소들을 자신의 작업에 인용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현대에 맞게 재해석한다. 이것은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의
흐름이 작가에게는 위협적이고, 무섭고, 어쩌면 종말론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오늘 사회적 분위기는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하고 있지 않는가? 정치적, 이념적
편가르기에 수긍하라는 압박감이 커지고 있지 않는가? 그리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극단주의와 급진주의로 치우치고 있지 않는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거대한
증오와 분노가 끊임없이 표출되고 있지 않는가? 성별, 인간과 자연, 기업과 개인, 세대,
사회 계급, 민족 사이에 암묵의 전쟁이 일어나고 있지 않는가? 그 외에도 팬데믹과 같은
위기는 주어진 상황을 더욱 악화시킨다. 작가의 작품에 담긴 이러한 현재는 너무나도
혼란스럽고 당장이라도 붕괴될 것만 같다.
사회에 대한 아민 보엠의 암울한 분석은 그의 작업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런
냉소함은 밤의 모티브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티브로 표현된다. 작가의 작업에는 도널드
트럼프, 정치적 상징이 되어버린 개구리 페페(Pepe the frog), 무지개 깃발과 같은 이슈화되는 주제들이 등장하고, 만화나 미디어 속 가상의 존재들이 사람들과 동등한
위치에 자리 잡으며 마치 모든 위계질서가 무너진 것 같은 풍경을 자아낸다. 또한
보엠의 인물 중 일부는 황홀하고 광기에 빠진 듯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다른 이들은
무력하고, 지치고, 거의 무관심해 보인다. 결국 여기도 극단주의가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각색의 인물들은 결코 조화를 이루지 못한 채 그림 속 공간을 공유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양립할 수 없는 세계에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마찰의 출발점은 바로 인물 개개인이다. 그들은 동시에 다수의
얼굴을 보여주고 그 얼굴들의 입, 눈, 코, 혀 등은 기괴한 형태를 하고 있다. 보편적인
관상은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며, 이렇게 뒤틀린 겉모습이 정교한 마스크인지 학대의
흔적인지조차 구분할 수 없다. 자신의 안전을 위해 과장된 위장을 하였든, 폭력에
희생되어 상처를 입었든 현실은 너무나 위험하고 위태롭다. 보엠은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 외에 천 조각을 잘라내어 캔버스에 붙이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얼굴의 변형이
인위적임을 거듭 암시한다.
아민 보엠은 그의 멘토이자 스승이었던 요르그 임멘도르프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사회
분석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사회 비판적인 작품들 외에, 인테리어, 정물, 초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업을 이어간다. 하지만 이렇게 비교적 조용하고 친밀감이
느껴지는 작품들 또한 주로 밤을 배경으로 하거나 야행성 고양이, 잠을 청하기 위해
거두는 커튼 등 밤과 연관되는 모티브가 등장하며, 어두운 밤 유리창에 반사된 무언가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의 꽃 중 일부는 색을 잃었으며 어차피 꽃병에 담겨 있어 이미
잘렸고 죽었다. 테이블은 검은색이고 방은 텅 비어 있다.
이 모든 것들이 만들어내는 공포는 뚜렷한 위험보다는 원초적 불안함이다. 보엠을
사로잡는 사회정치적 불안은 이렇게 겉보기에는 연관성이 없는 요소들을 통해 더욱
고조되고 심화되어 밤의 세계에 대한 실존적인 차원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다양한
모티브들이 현대사회를 분석하는 그의 그림 속에 자리 잡은 두려움을 사라지게 하지는
않지만, 이 공포를 보다 색다르고 더 자유로운 시점에서 시각화하고 반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